KYUNGDAE HEART UNION INTERNAL MEDICINE

예방접종
정확하고 섬세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합니다

KDHEART MEDICINE

예방접종 가이드

KDHEART MEDICINE

질환(상황)에 따른 성인 예방접종 권장표

KDHEART MEDICINE

예방접종 안내

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의한 감염병으로 매년 겨울철에 유행하여 고열과 함께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인플루엔자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됩니다.

예방접종 권장시기

  • 9월~12월

인플루엔자 백신

  • 불활성화 백신(주사용)
  • 매년 0.5mL를 1회 삼각근 부위에 근육주사
  • ※ 생후 6개월 이상-만 8세 소아는 1-2회 근육주사

우선 접종 권장대상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시 합병증 발생이 높은대상자(고위험군)
  • - 65세 이상 노인
  • - 생후 6~59개월 소아
  • - 임신부
  • - 만성폐질환자, 만성심장질환자(단순 고혈압 제외)
  • -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 - 만성 간 질환자, 만성 신장 질환자, 신경-근육질환, 혈액-종양 질환, 당뇨환자,
    면역저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60개월~18세의 아스피린 복용자
  • - 50~64세 성인
2) 고위험군에게 인플루엔자를 전파시킬 위험이 있는 대상자
  • - 의료기관 종사자
  • - 6개월 미만의 영아를 돌보는 자
  • - 만성질환자, 임신부, 65세 이상 노인 등과 함께 거주하는자
3) 집단생활로 인한 인플루엔자 유행 방지를 위해
접종이 권장되는 대상자
  • - 생후 60개월 ~ 18세 소아 청소년

폐렴구균

폐렴구균은 급성 중이염, 폐렴 및 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이며,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감염은 영아 및 어린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폐렴구균의 병원소는 증상이 없는 보균자의 비인두이며, 호흡기 비말(미세 침방울)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거나 상기도에 균을 가진 사람에서 자가접종에 의해 전파됩니다.

접종대상

  • 단백결합 백신 (10가, 13가)
  • -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 생후 2개월 ~ 59개월 모든 소아
    - 5세 미만에 접종을 받지 않은 5세 이상의 고위험군 중
    ※ 60~71개월의 만성질환 및 면역저하 상태의 소아
    ※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에 있는 6~18세 소아청소년
  • 다당백신(23가)
  • - 2세 이상 고위험군인 소아청소년
    - 성인65세 이상 노인

접종 일정

  • 단백결합 백신 (10가, 13가)
  • - 생후 2~59개월 소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12~15개월에 1회 추가 접종
    ※ 생후 7개월 이후 접종을 시작할 경우 시작연령 및 백신 종류에 따라 1~3회 접종
    10가와 13가 백신 간의 교차접종은 권고하지 않음
  • 다당백신(23가)
  • - 65세 이상 연령에서 1회 접종
    - 비장적출술, 면역억제치료, 인공와우 이식술 등이 예정된 소아는 치료 시작 전 최소 2주까지는 접종 완료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기능저하 상태의 소아청소년(2세 이상)
    - 65세 이전에 첫 번째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이 되었을 경우
    - 첫 번째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1회에 한하여 재접종

접종용량 및 방법

  • 단백결합 백신
  • - 0.5mL 근육주사
  • 다당백신
  • - 0.5mL 근육주사

금기사항

  • 백신에 대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중증도 이상의 급성 질환을 앓고 있을 때

A형간염

A형간염은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염으로 환경 및 위생개선과 적절한 예방조치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A형 간염은 분변-경구 경로로 전파되며, 대부분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적으로 전파되거나 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파되기도 합니다.

접종 대상

  • - 12~23개월의 모든 소아 (1차 접종: 생후 12~23개월 / 2차 접종: 1차 접종 후 6~18개월)
  • - A형 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고위험군 소아청소년이나 성인
  • - 20~30대 성인 중 예방접종력이 없거나 A형간염을 앓은 적이 없는 경우
  • - A형간염 환자 발생이 높은 국가(지역)으로 여행하는 경우
  • -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하는 사람
  • - A형간염 바이러스를 다루는 실험실 종사자
  • - 군인, 의료인, 외식업 종사자
  • - 혈액응고 질환자
  • - 만성 간질환자
  • - 불법 약물 중독자
  • - 동성애자

접종용량 및 방법

제품명 제조사 백신주 용법/용량 포장단위
하브릭스 (Havrix)
  • 글락소 스미스클라인(주)
  • HM175
  • 1~18세: 0.5ml (720 EL.U)를 6~12개월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
    19세 이상: 0.1ml (1,440 EL.U)를 6~12개월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
  • 0.5ml/PFS,
  • 1.0ml/PFS
박타 (Vaqta)
  • 엠에스디(주
  • CR326F
  • 1~18세: 0.5mL (25 U)를 6~18개월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
    19세 이상: 1.0mL (50 U)를 6~18개월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
  • 0.5ml/PFS,
  • 1.0ml/PFS
아박심 (Avaxim)
  • 사노피 파스퇴르(주)
  • GBM
  • 1~15세: 0.5mL (80 U)를 6~18개월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
    16세 이상: 0.5mL (160 U)를 6~12개월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
  • 0.5ml/PFS,

형간염

B형간염은 B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감염되어 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경과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급성 B형간염 중 5~10%가 만성 B형간염으로 진행되며 만성 B형간염이 지속되면 간경화증이나 간세포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접종 대상

  • 모든 신생아 및 영유아, 과거 B형간염의 감염 증거와 백신 접종력이 없는 소아청소년 및 성인

접종 일정

  • 0, 1, 6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

접종용량 및 방법

  • - 10세 이하 : 0.5ml(HBsAg 10 μg) 근육주사
  • - 11세 이상 : 1.0ml(HBsAg 20 μg) 근육주사

금기사항

  • 이전 접종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보인 경우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사람유두종바이러스는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병원체 중 하나로 지속감염 시 HPV 관련 암(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두경부암 등)과

그 전암병변, 생식기 사마귀,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증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주로 감염된 사람과의 성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접종대상 및 시기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은 세가지 종류로 가다실(4가), 서바릭스(2가), 가다실(9가)가 있으며,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지원되는 백신은 가다실(4가), 서바릭스(2가) 두가지 종류입니다.
  • 가다실(4가)
    - 만 9~13세: 2회 접종(6개월 간격)
    - 만 14~26세 이상: 3회 접종(0, 2, 6개월 간격)
  • 서바릭스(2가)
    - 만 9~14세: 2회 접종(6개월 간격)
    - 만 15~25세: 3회 접종(0, 1, 6개월 간격)
  • 가다실(9가)
    - 만 9~14세: 2회 접종(6개월 간격)
    - 만 15~45세: 3회 접종(0, 2, 6개월 간격)

접종용량

  • 1회 0.5ml 근육주사

대상포진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감염 후 후근신경절에 잠복하고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발진과 수포가 등신경뿌리 신경절이 분포하는 편측에 국한적으로 발생하며, 해당부위 심한 증과 지각 이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대상포진의 합병증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고령일수록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접종대상 및 시기

  • - 만 50세 이상 성인에서 1회 접종
  • ※ 대상포진을 앓은 경우에는 회복 후 최소 6~12개월이 경과한 후 접종하는 것을 권장

접종용량 및 방법

  • 제품에 따라 0.65mL 또는 0.5mL 1회 상완외측면에 피하주사
  • 약독화 생백신
    - 조스타박스: 0.65ml 상완외측면에 피하주사 1회
    - 스카이조스터: 0.5ml 상완외측면에 피하주사 1회
  • 유전자재조합 백신
    - 싱그릭스: 0.5ml 삼각근에 근육주사(0,2개월 일정으로 2회 접종)

KDHEART MEDICINE

접종 후 유의사항

예방접종 준비 시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 받기

접종 대상자, 보호자는 발열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내원 전 반드시 의료기관에 알린 후 접종 연기하기

예방접종 받을 때

의료기관 방문 시 접종 대상자, 보호자 모두 마스크 착용

의료기관 방문 시 비누와 물로 손씻기, 손소독제로 손 위생 실시하기

대기하는 동안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안정취하기

예방접종 전 예진 시 현재 아픈 증상이 있거나 평소 앓고 있는 만성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인에게 말하기

예방접종 받은 후

예방접종 후 접종 부위의 통증, 빨갛게 부어오름, 부종이나 근육통, 발열, 메스꺼움 등 경미한 이상반응은 접종 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1~2일 이내 호전됩니다.

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서 이상반응이 있는지 관찰하고 귀가하기

접종 당일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고, 접종 후 2~3일간은 몸 상태를 주의 깊게 살피기

접종 후 고열이나 호흡곤란, 두드러기, 심한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 받기